정부지원사업 준비하기 1 : 사업계획서 쓰기 전 필수 준비사항
2019.12.20 in 창업 정보

정부지원사업 선정되기 위한 노하우 대방출 포스팅 입니다.
중소기업, 스타트업 대표님들! 창업 준비 중이신 모든 분들! 주목하세요!!
정부지원사업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에는 여러가지가 있죠.
‘디딤돌 과제, 혁신형 창업과제, 선도형 차업과제, 팁스’등 다양한 정부지원사업이 있습니다.
오늘은 이 4가지 중 혁신형 창업과제에 대해서 이야기 해보려 해요. 왜냐!!!
저희가 2차 혁신형 창업과제에 선정되었기 때문에 준비과정은 무엇이 필요한지 사업계획서는 어떻게 써야 하는지 잘 알거든요 🙂
복잡한 행정처리, 준비과정 때문에 혹은 사업계획서 잘 못써서 기술이 있어도 지원사업 못받으시는 분들 없게끔 도와드릴게요
저희는 혁신형 창업과제 중에서도 ‘기술기반 창업형’에 지원했습니다.
이름에서도 아시다시피 기술력을 보유하고 있어 벤처나 이노비즈를 갖고 있는 기업 중 창업 7년 미만의 기업이 지원할 수 있어요.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아 너무 기네요.창성과제라 부르겠습니다.
창성과제는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4가지 과제가 있다고 말씀드렸죠. 특성은 아래와 같습니다.
위 표를 보시면 팁스가 끝판왕이네요. 스타트업 8천개 중 팁스는 고작 5~6개만 지원받으니 학교로 따지자면 서울대 같은 거죠 ㅎㅎ
1~2년차 기업일 경우 디딤돌 과제를 많이 하십니다. 하지만 디딤돌 두 개 선정되신 것보다 혁신형 창업과제가 훨씬 좋아요.
디딤돌은 1억 ~ 1.5억을 1년 동안 지원해주는 거지만 혁신형 과제는 한번의 과제만으로 2년동안 4억을 지원받는 것이니 훨씬 안정적이구요.
기술을 보유하신 기업은 반드시 노리셔야 할 지원사업입니다.
혁신형 창업과제, 꼭 해야 하나요?
네. 꼭 해야 합니다.
저희는 정부지원사업 행정업무 너무 복잡해서 모르겠고, 사업계획서도 쓸 줄 몰라요. 하시는 분들!
포기하지 마세요~ 국내에서 중소기업은 무조건 정부지원사업으로 성장해야 합니다.
매출을 위해서는 연구개발이 필수이고, 대한민국 만큼 연구개발비를 펑펑 잘 지원해주는 곳은 없습니다. 물량 면으로는 압도적으로 최고에요.
잘 성장해서 안정적으로 매출 내고 있는 기업의 특징은 “정부지원사업의 중요성을 잘 알고 있으며 체계적인 준비를 하는 곳” 이라 하겠습니다.
보통 R&D 지원 사업이 8월 경 끝이 나요. 그럼 9월 부터는 내년 지원사업을 받기 위한 준비를 합니다.
매출의 10% 는 R&D 지원사업으로 따놓고 사업을 준비해요. 30억 매출 내는 기업은 3억원 정도의 R&D 사업을 준비해서 인건비를 충당합니다.
투자받은 돈이나 대출 받은 돈은 마케팅에 쓰시고 시제품 개발은 정부지원과제로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시제품에 들어가는 시험/인증 분석, 공인시험성적서 등은 정부지원사업으로 해결할 수 있기 때문이죠. 결과물로 나오는 특허 관련 비용도 모두 지원됩니다. 그리고 특허가 나오면 기술력도
생기고 경쟁사가 나오는 것을 늦추는 역할도 합니다. 하지 않을 이유가 1도 없어요.
물론 쉽게 되기는 어렵습니다 경쟁률이 매우 높거든요. 사업계획서 난이도도 중상급으로 높은 편이고,
설사 정부지원사업에 선정되시더라도 복잡한 행정처리에 매 월 연구노트도 쓰셔야 합니다. 그취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하셔야 합니다.
힘든게 1할이면 좋은 점이 9할이니 꼭 도전해보시기 바랍니다.
실패도 자산입니다 🙂
꼭꼭 약속해
정부지원사업 꼭 도전하기로 약속해요
정부지원사업 사업계획서 쓰기 전 준비사항
이제 본격적으로 어떤 것들을 준비해야 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창성과제는 창업선도대학, 초기창업패키지랑은 다릅니다.
난이도가 훨씬 높은 사업이에요 (그렇다고 창업선도대학, 초창패키지가 쉬운건 아니에요. 경쟁률 엄청나요 거의 200:1 이라능..유유)
복잡하기도 하고 준비할 것도 많습니다. 순서대로 천천히 설명해드릴게요 😀
1. 회원가입
회원가입부터 해볼까요. SM tech 에 회원가입할 때 충실히 기입해주세요. 써야 할 항목이 많습니다만 꼼꼼히 써주세요.
아래 사이트 들어가셔서 회원가입을 해보아요
https://www.smtech.go.kr/front/main/main.do
중소기업기술개발사업 종합관리시스템
공고별 보기 사업별 보기 이전 다음 전체공고 보기 접수예정 마감일 2020. 01. 09 2019년도 수출지원프로그램 제1차 시행계획 공고 접수기간: 2019. 12. 26 ~ 2020. 01. 09 상세보기
접수예정 접수중 마감일 2019. 12. 31 2019년 연구기반 활용사업 시행계획 공고 접수기간: 2019. 02. 01 ~ 2019. 12. 31 상세보기 신청하기 접수중 마감일 2019. 12. 31
2019년도 공공연 연구인력 파견지원(12월 신청) 접수기간: 2019. 12. 01 ~ 2019. 12. 31 상세보기 …
2. 과학기술인번호 등록
정부 지원사업에 직원들을 연구원으로 등록해야 하는 절차가 있는데 반드시 과학기술인번호를 요구합니다.
사전에 직원들의 과학기술인번호를 득해야 하니 NTIS 에 가셔서 준비하세요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련 과제공고, 과제성과(논문특허), 연구시설장비 정보 등을 통합적으로 제공
3. 선행연구조사
선행연구조사는 여러분들이 하려는 사업이 이미 누가 하고 있는 사업인지 사전에 조사하는 것을 말합니다.
기껏 사업계획서 다 써놓고 준비 다 해놨는데 똑같은 아이템 혹은 기술을 하고 있다면 사업 선정에 실패해요. (이 무슨 x고생..)
그런 일을 방지하고자 사업명으로 검색해보고 비슷한 것이 있다 싶으시면 사업명 혹은 사업 아이템을 변경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2개 사이트에서 선행연구조사를 할 수 있으니 크로스 체킹 해보세요~
https://www.ntis.go.kr/ThMain.do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
국가연구개발사업 관련 과제공고, 과제성과(논문특허), 연구시설장비 정보 등을 통합적으로 제공
국가과학기술정보센터 NDSL(National Digital Science Library)
팝업존 1 2 3 Stop 논문 특허 보고서 동향 실시간 검색어 시신경척수염 미세먼지 인공지능 조현병 미세플라스틱 블록체인 드론 콜라겐 대인문제해결 악플 파킨슨 RNA 광다이오드 광전효과 방탄소년단 어묵 카페인
횡단성척수염 히치콕 SYNTHESIS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레몬 막걸리 산수유 신재생에너지 치아미백 텔로미어 CNN 관능검사 도토리묵 마가목 블랙아이스 인삼 저출산 창의성 GPS PH STAPHYLOCOCCUS
간호 관능평가 중학생 스마트폰 청소년 애착 분노 현미경 환경오염 EXPERIMENTAL 부모교육 프로그램 샤이닝 식생…
위 사이트에 가셔서 과제명으로 검색하시면 아래 이미지처럼 유사 과제가 나오고 과제 내용이 나와요.
쉽죠? 과제 내용 겹치지 않게 확인해보아요.
머시…머신러닝 오타에요 ㅎㅎ
4. 바우처 업체 및 참여기업 선정
창성과제는 RnD 바우처를 써야합니다. SW 업종을 제외하고는 필수사항입니다.
20% 정도를 바우처를 쓰게끔 하며, 연구전문기관에 외부위탁을 해야 합니다. 제품에 대한 성능시험, 기획/개발 등을 외부에 필히 맡겨야 해요.
바우처 업체는 지정해준 곳에서만 써야하며, 바우처 비용을 비목별 항목에 적어놓은 만큼 써야 합니다. 그래서 바우처 업체를 선정하고 견적서를 미리 받아놔야 이런 작업들이 가능해요.
참여기업이 필요하다면 이 역시 미리 준비해야 합니다. 참여기업의 연구원도 등록해야 하고, 각자의 과제 할당 부분들은 사전에 얘기해놓아야 사업계획서 쓰실 때 어렵지 않습니다.
5. 자격조건 갖추기
창성과제 자격조건이 기술력을 인정받은 벤처기업, 이노비즈 기업 대상이라는 건 앞서 말씀 드렸죠~
벤처기업 인증을 위해서는 연구소 설립, 특허출원, ISO 인증을 해놓으셔야 가능하니 이런 일들을 미리 다 해놓으시길 바랍니다.
참고로 벤처기업 인증에 2~3개월, 연구소 설립하시고 특허출원 하시는데 1~2개월 소요됩니다.
지금부터라도 준비하셔서 내년 2월에 올라오는 지원사업에 도전해보아요!!
벤처기업 등록 성공 꿀팁은 요기에 있어요!!
노하우 한껏 담았으니 벤처기업 인증 꼭 성공하세요 🙂
6. 기타 정부지원사업 꿀팁
정부지원사업은 자금이 상반기에 몰려 있어요. 1월 ~ 4월 까지 집중해서 신청하시는 것을 추천 드립니다.
하반기에 가까워질수록 사업 경쟁률이 매우 세집니다. 예산 배정도 적구요. 즉, 떨어질 확률이 높다는 얘기입니다.
정부지원사업 지원할 수 있는 마지막 시기는 8월 입니다. 8월에 지원하시더라도 평가받는데 3~4개월, 협약체결에 1개월 총 5개월 정도가 소요됩니다. 8월에 사업을 신청하지면 12월에 협약체결하신다는
말씀!
아직 사업계획서 쓰는 방법도 개시 안했는데 내용이 너무 많아 부득이하게 자를 수밖에 없네요.
‘창업성장기술개발사업 준비하기 2탄’ 에서는 제일 중요한 사업계획서 쓰는 법과 비목별 항목은 어떻게 작성하면 되는지에 대해서 설명할게요!!
다음 주중에 2탄으로 인사드리겠습니다~ 커밍쑤운 😀